임휴사 |
기본정보
Overview
* 태조 왕건이 머물던 곳, 임휴사 *
대구 시민의 휴식처인 앞산에는 예로부터 고려 태조 왕건과 관련된 이야기와 사찰들이 전해오고 있다. 한창 후백제의 견훤과 접전을 벌일 무렵 수세에 몰린 왕건이 이 곳 앞산에 이르러 은적사, 안일사, 임휴사 등지에서 머물면서 마음을 다스리고는 훗날‘고려‘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된다. 특히‘임시로 쉬어갔던 절’이란 뜻의 임휴사(臨休寺)는 태조 왕건이 계속적인 패배로 지친 심신을 부처님 전에 달래어 심기일전하고 다시 전장에서 승리를 하게된 계기를 마련한 유서 깊은 호국도량이다. 이 후 임휴사는 불조의 혜명으로 법등이 전수되어 1천년 세월을 국가에는 국태 민안을, 민족에게는 자비 화합을 안겨준 지역민의 귀의처로 발돋움했다. 지금은 대구시민의 기도도량이자 휴식공간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난 2004년 7월12일 타종교의 광신도로 추정되는 정체불명 괴한이 저지른 계획적인 방화로 인해 요사를 제외한 전각이 모조리 전소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발생했다. 법당 내부에 모셔진 불상이나 탱화를 단 1점도 꺼내오지 못할 정도로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임휴사는 아직 화재를 일으킨 범인을 잡아내지 못한 채 고통을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천년을 넘도록 지켜온 법등을 한순간에 소멸시킬 수는 없는 일. 임휴사는 2007년 완공을 목적으로 다시 대웅전 불사를 진행하고 관음기도도량으로서 기도와 수행에 전념하고 있다. 거기다 지역민을 위한 ‘마야유치원’을 운영하며 어린이법회를 함께 이끌고 ‘불교전문교육원’을 개설해 교육과 포교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 다음 해인 2005년 부처님오신날에는 경내에서 산사음악회를 개최해 지역주민의 많은 참여와 함께 임휴사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제 임휴사는 다시는 외부의 불순한 세력에 의해 삼보정재를 훼손하거나 손실을 입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그 옛날 태조 왕건의 통일에 대한 의지를 이 곳에서 가다듬었듯이 임휴사도 과거의 불행했던 일을 거울 삼아 불법 홍포의 의지를 다시 한번 드날리기를 염원해 본다. * 임휴사의 창건배경 및 역사 * 임휴사는 일찍이 신라 말엽인 921년(경명왕 5년)에 중국 당나라에서 불법을 수행하여 크게 선풍을 진작하고 귀국한 영조대사(靈照大師:870-947)가 창건한 이래 서기 1811년(순조 11년)에 무주선사(無住禪師)가 중창하였으며 1930년에 포산화상(苞山和尙)이 3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임휴사(臨休寺)라는 사명(寺名)은 후삼국시대에 백제와 고려의 각축장이 되었던 팔공산 지역에서 고려를 세운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일대 격전을 치른 곳으로 동수대전(棟藪大戰)의 발생에서 찾을 수 있다. 서기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침범해 오자 이 소식을 들은 왕건이 신라를 돕고자 경주로 가던 중 동수(동화사 인근지역)에서 견훤을 만나 일대 격전을 벌이게 되었다. 이 싸움에서 왕건은 크게 패하여 생명 조차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을 때 왕건의 심복인 김락의 호위를 받은 신숭겸이 왕건의 투구와 갑옷으로 위장하고 달아나자 견훤이 이를 진짜 왕건으로 보고 쫓아가 죽이는 바람에 왕건은 무사히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왕건은 그 뒤 자신을 대신하여 전사한 신숭겸과 김락을 위해 지묘사(智妙寺)를 지어 위로하였는데 이 지묘사는 후일 없어지고 말았다. 이 싸움으로 인하여 대구는 왕건에 관련된 지명이 남게되었는데 왕건의 군사가 크게 패하였다는 파군재(破軍齋), 왕건의 탈출을 비추어 주던 새벽달이 빛났다하여 반야월(半夜月), 왕건이 혼자 앉아 쉬었다는 독좌암(獨坐巖) 등을 비롯하여 앞산의 대덕산은 은적사, 안일사와 왕건이 탈출하다가 임시로 군막을 치고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 갔다고 하여 임휴사(臨休寺)라는 사명이 만들어 졌다. |
주변 맛집 |
![]() |
돼지만 본점
(1.3km)
대구시 달서구 상화북로
|
![]() |
베를린 에스프레소 바
(1.4km)
대구시 달서구 미리샘길
|
![]() |
천연애
(2.0km)
대구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
![]() |
쿄우다이
(2.0km)
대구시 달서구 월배로46길
|
![]() |
가야성
(2.5km)
대구시 달서구 월배로83길
|
![]() |
수반
(2.6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 |
앞산분식
(2.6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 |
호어모아
(2.6km)
대구시 남구 안지랑로5길
|
![]() |
면장수 앞산점
(2.6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 |
원대덕골민물장어
(2.6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주변 여행 |
![]() |
첨모재·사효당
(0.9km)
대구시 달서구 월곡로26길
|
![]() |
인산정사
(1.2km)
대구시 달서구 상인로26길
|
![]() |
열락당
(1.6km)
대구시 달서구 상인로
|
![]() |
월곡역사공원
(1.7km)
대구시 달서구 상인로
|
![]() |
관덕정
(2.0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 |
안일사
(2.0km)
대구시 남구 대명동
|
![]() |
백련사
(2.1km)
대구시 달서구 중흥로
|
![]() |
앞산 해넘이전망대
(2.5km)
대구시 남구 대명동
|
|
학산공원
(2.8km)
대구 달서구 월성동
|
![]() |
은적사
(3.0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
|
주변 숙박 |
|
유원게스트하우스
(3.0km)
대구시 남구 앞산순환로93길
|
![]() |
호텔 더팔래스
(4.9km)
대구시 남구 이천로
|
|
온도호텔
(5.0km)
대구시 달서구 야외음악당로
|
![]() |
서문한옥게스트하우스
(6.5km)
대구시 중구 큰장로24길
|
![]() |
AW호텔
(6.9km)
대구시 달서구 성서로
|
![]() |
온나 게스트하우스
(7.0km)
대구시 중구 남성로
|
![]() |
호텔크라페 성서점
(7.0km)
대구시 달서구 성서공단로11길
|
![]() |
한옥1957
(7.2km)
대구시 중구 국채보상로101길
|
![]() |
호텔드포레
(7.2km)
대구시 달성군 가창로
|
![]() |
호텔여기어때 서대구점
(7.3km)
대구시 서구 달서로
|
주변 레포츠 |
![]() |
달서구청소년수련관
(0.3km)
대구시 달서구 상화로
|
![]() |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1.3km)
대구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
![]() |
대덕승마장
(1.3km)
대구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
|
두류공원인라인스케이트장
(3.9km)
대구시 달서구 성당동
|
|
다사체육공원
(4.4km)
대구시 남구 대명동
|
|
앞산자락길
(4.5km)
대구시 남구 용두2길
|
![]() |
이월드 눈썰매장
(5.0km)
대구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
![]() |
아르떼수성랜드 아이스링크
(5.1km)
대구시 수성구 상동
|
![]() |
학생문화센터 수영장
(5.5km)
대구시 달서구 용산로
|
![]() |
달구벌승마공원
(6.2km)
대구시 달성군 화원읍
|
주변 캠핑 |
![]() |
달서 별빛캠프
(1.5km)
대구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
![]() |
포레스트12
(7.2km)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
![]() |
글램핑로망
(9.7km)
대구시 달성군 옥포로111길
|
![]() |
O2글램핑
(9.8km)
대구시 달성군 옥포읍
|
![]() |
청도글램핑
(10.1km)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
![]() |
신난다 글램핑
(10.1km)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
![]() |
가창글램핑장
(10.2km)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
![]() |
하늘아래수성별사랑캠프
(10.3km)
대구시 수성구 진밭길
|
![]() |
비슬산숲속오토캠핑장
(14.0km)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
|
가창농원글램핑오토캠핑장
(14.2km)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
주변 쇼핑 |